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찰 포트폴리오

by 푸른바다99 2021. 7. 22.
반응형

성찰 포트폴리오


 학생들이 자신의 도덕적 경험을 중심으로 삶을 성찰하도록 하는 데 학생 자신이 겪은 도덕적 경험을 성
찰 포트폴리오로 작성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성찰 포트폴리오 제작의 주요 목적은 도덕적 경
험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것이 자신의 현재 특성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행동과 인격 특성을 설
정하게 하는 것이다. 도덕적 경험은 도덕적 경험이 발생하는 기원에 따라 자기 내부의 도덕적 경험, 친구
관계에서의 도덕적 경험, 사회와의 관계에서의 도덕적 경험, 국가 및 지구 공동체와의 관계에서의 경험,
동물 및 자연과의 관계에서의 경험, 신과의 관계에서의 경험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도덕적 성찰의 범주는 개인 성찰의 경험과 집단 성찰의 경험을 포함한다. 그래서 도덕적 성찰은 학교
폭력같이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도덕적 경험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 국가, 지구 공동체에
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현상, 사건, 문제까지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에 대한 차별
문제, 북한 주민들의 인권과 복지 문제, 국가 사이의 영토 분쟁과 역사 왜곡 문제, 음식 낭비와 국제 기아
문제, 동물의 권리 보호와 모피 의복 착용 문제, 특정 상표의 옷과 가방 착용 문제 등으로 도덕적 성찰은
확대될 수 있다.


 성찰 포트폴리오는 과거 경험의 사건에 대한 기술, 과거 경험에 대한 성찰, 미래 행동의 변화 계획 및
실행 세 부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첫 번째 경험 기술에서는 과거의 도덕적 경험들에서 자신의 행동, 생
각, 감정을 정확히 기록한다. 두 번째 성찰은 행동에 대한 성찰과 행동을 위한 성찰 두 영역으로 나뉜다.
과거 경험들에서의 의도, 태도, 가치 정서를 분석한 행동에 대한 성찰은 과거 경험에 중심을 둔 분석이고
행동을 위한 성찰은 과거 경험에서 배운 것을 현재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행동을 위한 성찰
에서는 미래 행동의 변화를 함축한다. 세 번째 부분은 미래 행동의 변화 및 실천 노력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과거 경험, 자아 인식, 행동의 변화가 종합된다.

 


<출처: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윤리 교육 연구』 제27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