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상식5

주요 3화음(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이론 설명 주요 3화음(으뜸화음, 버금딸림화음, 딸림화음)이론 설명 음 놓이가 다른 두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것입니다.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려서 소리 나는 것을 화음(Chord)이라 하며, 떤 음을 기준으로 하여 3도씩 위로 두 번 쌓아 올려 만든 화음을 3화음이라고 한다. 3화음을 이루는 세 음에서 각각 맨 아래의 음을 ‘밑음’, 가운데 음을 ‘3음’, 제일 위의 음을 ‘5음’이라 하는데 밑음, 3음, 5음의 이름은 화음의 자리바꿈으로 배치가 달라지더라도 항상 같은 이름을 사용한다. 음계의 1번째(도부터 시작), 4번째(파부터 시작), 5번째(솔부터 시작)의 3화음을 뜻합니다. 즉 1도화음은 도,미,솔 4도화음은 파, 라, 도 5도 화음은 솔, 시, 레 입니다. 1도(으뜸화음-도미솔)은 해당음계의 .. 2021. 9. 2.
세계의 민속 악기(백파이프, 알펜호른, 발랄라이카, 얼후, 보낭, 젬베, 코아우우, 밴조, 삼포냐) 세계의 민속 악기(백파이프, 알펜호른, 발랄라이카, 얼후, 보낭, 젬베, 코아우우, 밴조, 삼포냐) 1. 백파이프 가죽으로 만든 공기주머니와 몇 개의 리드가 달린 관으로 된 기명 악기이다. 입이나 풀무로 공기주머니에 공기를 불어 넣어 그것을 밀어냄으로써 주머니에 달린 관을 울리게 해 소리를 낸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각지, 유럽 전역에서 옛날부터 민족 악기로 사용되었는데, 스코틀랜 드에서는 현재도 군악용 악기로서 유명하며 영국 민요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술 음악에서 도 전원적인 분위기를 내기 위해 백파이프 연주를 흉내 내는 일이 많다. 출처 두산백과 2. 알펜호른 스위스·오스트리아의 알프스산 목장에서 쓰이는 나무나 나무껍질을 감은 긴 나팔 모양의 악기이다. 길이는 40㎝에서 4m에 이르는 것까지 다양하.. 2021. 7. 16.
우리나라 세계 유산(인류 무형 문화유산) 우리나라 세계 유산(인류 무형 문화유산) 1. 세계 유산 유산이란 우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아 오늘날 그 속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자산이다. 자 연 유산과 문화유산 모두 다른 어느 것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우리들의 삶과 영감의 원천이다. 유산의 형태는 독특하면서도 다양하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세렝게티 평원에서부터 이집트의 피라미드, 호주의 산호초 와 남미 대륙의 바로크 성당에 이르기까지 모두 인류의 유산이다. ‘세계 유산’이라는 특별한 개념이 나타난 것은 이 유산 들이 특정 소재지와 상관없이 모든 인류에 속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연 유산 및 문화유산들을 발굴 및 보호·보존하고자 1972년 세계 문화 및 자연 .. 2021. 7. 15.
서양 현악기의 종류(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기타, 더블베이스, 하프) 서양 현악기의 종류(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기타, 더블베이스, 하프) 오늘은 서양 현악기의 종류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기타, 더블베이스, 하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이올린 ‘Violin’이라는 명칭은 중세 라틴어 ‘Vitula’에서 왔다. ‘현악기’라는 의미의 이 단어는 게르만어로 ‘피들 (fiddle)’이라는 뜻으로, 요즘에도 피들이라는 명칭은 바이올린이라는 악기명과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맑고 밝은 음색을 지녔으며 현악기 중 가장 높은 음을 내며 독주나 합주에 널리 쓰인다. 2. 비올라 바이올린을 조금 크게 한 악기로 음색이 차분하여 합주에서 중간부의 가락을 연주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 다. 음역은 ‘가온 다’ 음을 중심으로 하므로 가온음자리표를 사용한다. 3. 첼로 바이올린.. 2021. 7.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