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상식4

한글창제의 원리 한글은 어떻게 만들어졌기에 이런 찬사를 받는 것일까 570여 년 전 중이라는 우리 말은 우리 글로 담을 수 없었다. 말을 옮길 글자가 없어 중국의 글자를 빌려 쓴 조선 하지만 말과 글이 다른데다 한자는 수가 많고 어려워 백성들은 소통이 힘들었다. 이에 세종대왕은 누구나 쉽게 익혀 읽고 쓸 수 있는 새로운 문자를 만드니 그것이 훈민정음이다 한글은 오늘날 그 창제 원리의 과학성을 인정받아 더 많은 찬사를 받고 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은 자음자 열일곱 자 모음자 열한 자 총 스물여덟 자로 구성된 문자다 자음자의 제자 원리의 큰 특징은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점이다. 기억 미음 미음 시옷 이음 첫 번째 기본 자음자 기억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땄다 그 두 번째 기본 자음자 니은은 혀.. 2021. 12. 25.
속담 초성퀴즈 한번 풀어 보세요(2탄) 총 10문항 속담 초성퀴즈 한번 풀어 보세요(2탄) 총 10문항 1번 속담초성 문제 2번 속담초성 문제 3번 속담초성 문제 4번 속담초성 문제 5번 속담초성 문제 6번 속담초성 문제 7번 속담초성 문제 8번 속담초성 문제 9번 속담초성 문제 10번 속담초성 문제 정답은 아래에 있습니다. 정답 1. 좋은 약은 입에 쓰다. 2.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3.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 4. 원수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 5. 울며 겨자 먹기 6. 옥의 티 7. 열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속은 모른다 8. 식은 죽 먹기 9.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10.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2021. 6. 10.
속담 초성퀴즈 한번 풀어 보세요. (1탄) 속담 초성퀴즈 한번 풀어 보세요. (1탄) 총 10문항 오늘은 속담을 재미 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속담 초성퀴즈를 한번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자 시작해 볼까요? 정답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힌트를 위해 이미지를 넣었으니 잘 맞추어 보세요. 1번 속담 초성 문제 2번 속담 초성 문제 3번 속담 초성 문제 4번 속담 초성 문제 5번 속담 초성 문제 6번 속담 초성 문제 7번 속담 초성 문제 8번 속담 초성 문제 9번 속담 초성 문제 10번 속담 초성 문제 아래에 정답이 있습니다. 1. 얌전한 고양이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 2.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랴 3. 아닌 밤중에 홍두께 4.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5.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린다. 6. 하룻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7.. 2021. 6. 9.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속담과 뜻 정리 모음 학생들이 꼭 알아야 할 속담과 뜻 정리 모음 ● 다 된 죽에 코 풀기 : 거의 완성된 일에 훼방을 놓아 일을 망쳤을 때 하는 말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 자신에게 이용가치가 있을 때는 이용하다가 쓸모가 없어지거나 이용가치가 떨어졌을 때 차갑게 행동하고 외면하는 경우에 쓰인다. ●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민다. : 옳지 못한 짓을 하고는 드러나게 되자 엉뚱한 수작으로 남을 속여 넘기려고 다 른 것을 남에게 보이는데 그 솜씨가 서투름을 이르는 말. ● 도둑이 제 발 저리다. :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해진다는 말.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 아무리 잘 아는 일이라도 조심하여 실수 없게 하라는 뜻. ●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 나쁜 행실일수록 점점 더 크고 심하게 되니.. 2021.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