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상식

태양 고도, 태양의 남중 고도, 계절별 태양의 남중 고도와 기온, 낮의 길이 관계, 계절이 변하는 까닭

by 푸른바다99 2021. 9. 17.
반응형

1. 태양 고도

태양 고도는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 각을 말한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태양 고도는 하루 동안 달라지게 된 다. 태양 고도는 오전에 점점 높아지며, 낮 12시 30분 무렵에 최고점에 달한다. 그리고 오후에는 점차 낮아진다.

 태양이 지구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 빛은 지구에 거의 평행으로 오게 된다. 막대기의 길이가 길어지면 그림자 길이도 함께 길어지기 때문에 태양 고도는 막대기의 길이에 상 관없이 일정하게 측정된다.

 

2. 태양의 남중 고도

 태양의 남중 고도는 태양이 정남쪽 하늘에 있을 때의 고도를 말하며, 하루 중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때이다. 우리나라에서 는 낮 12시 30분 무렵에 태양의 남중 고도를 측정할 수 있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그 지역의 위도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 나라의 경우 같은 날이라도 위도가 낮은 제주도는 위도가 높은 서울보다 태양의 남중 고도가 더 높다.

 

 

3. 계절별 태양의 남중 고도와 기온, 낮의 길이 관계

 계절에 따라 태양의 남중 고도가 달라지면 일정한 면적에 도 달하는 태양 에너지양이 달라져 기온도 달라진다. 태양 고도가 높을수록 일정한 면적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양이 많다. 손전 등을 땅에 수직으로 비추었을 때 전등 빛이 비추는 면적이 작 지만 가장 밝은 것과 비슷한 원리이다.

 태양의 남중 고도는 낮의 길이에도 영향을 준다. 따라서 태 양의 남중 고도가 높으면 낮의 길이는 길어지고, 태양의 남중 고도가 낮으면 낮의 길이는 짧아진다.

4. 계절이 변하는 까닭

 계절의 변화는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 궤도면에 대해 기울어진 채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만약 지 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지 않거나,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 전하지 않는다면 계절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