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상식

연소의 종류(증발연소, 표면연소)

by 푸른바다99 2021. 9. 23.
반응형

■ 연소의 종류(증발연소, 표면연소)

 

 일반적으로 물질이 탈 때에는 기체가 연소하면서 불꽃이 생 긴다. 석유나 양초가 연소할 때의 불꽃은 액체나 고체를 가열 했을 때 증발하는 기체가 연소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를 ‘증발 연소’라고 한다.

 

 나무가 연소할 때도 불꽃이 생기는데 나무의 성분이 열분해 되어 생긴 가연성 기체가 연소하기 때문이다. 석탄 등도 열분 해되어 가연성 기체가 발생해 연소한다. 기체 상태의 연소가 아니라 고체 상태 그대로 연소하는 것은 ‘표면 연소’라고 한다.

숯(목탄)은 산소와 접촉하는 표면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며 화염이 발생하지 않고 빛과 열을 내며 연소 한다.

 

✽자료 출처: 이해평·박영주. 『연소 공학』. 화수목, 2015.

반응형

'과학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의 심지가 하는 역할, 무중력 상태에서 촛불  (0) 2021.09.23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  (0) 2021.09.23
초의 연소 원리  (0) 2021.09.23
소화의 원리  (0) 2021.09.23
연소의 조건  (0) 2021.09.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