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그 요즘 오미크론이 크게 유행하면서 스텔스 오미크론이 41%에 달할 정도로 급하게 늘고 전염력이 15배 강하다 보니까 더 환자가 요즘 줄지 않고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이제 뉴잉글랜드 저널 메디신의 최근 3월 16일 날 간단하지만 중요한 연구 결과가 발표돼서 소개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지금 스텔스 오미크론이 이제 유행하면서 오미크론 걸린 다음에 또 스텔스 오미크론에 다시 걸릴 수가 있는 거
또 스텔스 오미크론이 백신 접종 이해 접종이나 3회 접종 부스터 접종으로 예방 가능한 건지 이거에 대한 궁금증이 많으신 것 같아서 그것에 대한 답이 되는 것 같습니다.
뭐 연구는 오미크론 ba 1 그리고 스텔스 오미크론 비에 2 변이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가 있는지 그 백신 접종 후에 우리가 항체가 생기고 또는 코로나 19 걸린 다음에 항체가 생겨서 이 중화 항체가 스파이크 담백과 결합해서 감염을 막는 것이고
그래서 이 연구진들은 화이자 mrna 백신을 맞은 기본 접종 3주 간격으로 두 번 접종하고 부스터 접종을 받은 감염된 적이 없는 24명의 사람 혈청을 채혈하고 백신 접종을 받았든 안 받았든 코로나 사스 코로나에 걸린 적이 있는 8명에서 혈청을 채혈해서 여기서 워싱턴 1 2020년은 미국에서 워싱턴 주에서 첫 코로나 바이러스가 분류가 됐는데 사실상 우한 바이러스와 같은
그래서 초기 우한 바이러스와 유사한 오리지널 바이러스 주와 오미크론 ba 1과 스텔스 오미크론 ba 2에 대한 중화항체 결합 반응을 비교해서 과연 백신 접종 후에 생긴 항체 또는 코로나에 걸리고 생긴 항체가 오미크론 오리지널 오미크론 비에이 원과 스탠스 오미크론 비에이 2를 중화시켜서 무력화 시키는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지를 한 번 실험을 한 겁니다.
우선은 뭐 이 오미크론 비에이 1과 스텔스 오미크론 비에이2는 같은 오미크론의 이 하위 변입니다.
뭐 세 가지 네 가지가 있는데 지금 이 스파이크 담백의 이제 변이 부위를 이렇게 보여드리는 것은 워낙에 이제 한 50여 개 부위가 변이가 있는데 지금 아 특히나 이제 스파이크 단백의 비셉터 바인딩 두메인이나 그쪽에 변이가 많죠.
여기 보면 파란색은 스텔스미크론
변이고요 그다음에 이제 빨간색은 오리지널 오미크론에만 있는 변입니다.
오리지널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이 공통적으로 변이가 있는 거는 검은색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스텔스 오미크론이라고 해서 이제 잡히지 않는 오미크론이라고 그래서 자칫 우리나라에서도 검사에 안 잡히는 거 바이러스가 아닌가 이렇게 오해하실 수가 있는 건데 그건 아니고요 여기 69번
10번 유전자가 결손이 딜리션이 있어서 이 오리지널 오미크론의 경우에 피씨알로 어 우리가 이제 안 잡히는데 스텔스 오미크론 같은 경우는 또 이게 영국에서의 얘기입니다.
영국에서 영국의 피씨알 방법에 있어서 그렇지만은 이 스텔스 오미크론의 같은 경우는 69번 70번에 결손이 없기 때문에 영국에서 이제 pcr로 또
잡힙니다. 그래서 이게 오리지널 오미크론과 스테스 오미크론은 69 10번의 결손 차이에 따라서 pcr에서 검출되거나 안 되는 이유로 해서 스텔스 오미크론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무관한 우리나라에서 무관한 거고 그래서 오해하실 필요는 없다.
자 그래서 이 지금
연구자들이 백신 접종 여기 백신 접종 왼쪽에 있는 그래프의 기본 접종자고 중간은 부스터 접종 그러니까 3차 접종하기 전이고요 제일 오른쪽이 3차 접종 부스터 접종한 이후입니다.
그리고 중앙체가를 측정을 했습니다. 여기 보시면 제일 왼쪽에 있는 것이 wa라는 것은 우한 바이러스와 유사한 오리지날 코로나19 바이러스입니다.
기본 접종 후에 중앙항체는 오리지널 바이러스에서는 높게 잡히는데 ba1 오리지널 오미크론과 ba2 스텔스 오미크론에서 23분의 1 27분의 1로 결합력이 떨어집니다.
그러니까 백신 두 번 접종하고 오미크론이나 스탠스 오미크론을 방어할 수 있는 중화항체 형성은 거의 안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가운데도 마찬가지로 부스타 접종하기 전에 항체가가 떨어진 상황에서 오리지널 바이러스도 그렇고 스텔스 오미크론도 그렇고 또 우한 바이러스 오리지널 바이러스와 유사한 w 워싱턴 바이러스도 중앙체가가 뚝 떨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3차 접종을 하고 나서 제일 오른쪽에 보시면 다시 이제 항체 중앙체가가 올라갑니다.
그 오리지널 우한 바이러스에 유사한 워싱턴 바이러스에 대해서
6539 정도로 여가가 많이 올라가죠.
여전히 이제 스텔스 오미크론이나 오리지널 오미크론 ba1 ba2 항체가가 올라갑니다.
앞서 두 번 접종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올라갔죠.
166 776으로 높기 때문에 결국은 두 번 접종하면 스트레스 오미크론이나 오미크론도 예방이 가능하다 어느 정도
상당히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단 오리지날 우한 바이러스 대비해서 오미크론이나 스테스 오미크론 중앙체가는 6분의 1 또는 84분의 1로 현저히 낮아지죠 그러니까 방어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오리지널 오미크론 ba1 하고 스텔스 오미크론 ba2의 중앙체가를 보면 1066하고 776으로 1 4
정도 약간 낮습니다. 그렇지만 중앙체가가 꽤 형성이 되니까 부스터 접종을 하고 나서 스테스 오미크론도 상당수 감염 예방하다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연구 결과를 보면 지금 두 번 접종으로는 오리지널 오미크론이나 스테스오미크론 감염 예방은 거의 안 되지만 3차 부스터 접종을 하면 이렇게 항체가가 올라가서
방어가 가능하다 그래서 지금 부스터 접종 3차 접종을 맞으시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하나의 근거가 되겠습니다.
그 다음에는 이제 여덟 명의 코로나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 어떻게 보면 자연 감염 후에 면역으로써 중앙체가 생긴 사례를 봤습니다.
여기 8명 중에 7명은 백신을 또 접종했어요.
그러니까
하이브리드 이뮤니티가 생긴 거죠. 일곱 명은 백신 접종도 하고 코로나에 걸려서 생긴 중화항체입니다 한 명은 백신 접종을 안 하고 그냥 코로나에 걸린 사례가 되겠죠.
아래 보면 쪽에 이제 오리지널 워싱턴에서 분리된 바이러스 우한 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고 가운데는 오미크론 오른쪽은 스텔스 오미크론입니다.
그리고 중앙항체가를 측정을 했더니 여기 보면 이제 제일 밑에 한 명이 각
있는데 이 경우는 백신 접종 안 받고 자연 감염 해서 항체가 생긴 분은 제일 낮습니다.
바닥입니다. 그렇지만 나머지 일곱 명은 백신 접종 받고 또 자연 감염이 돼서 하이브리드 인뮤니티가 생겨서 중앙채가가 오리지널 워싱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446 오리지널 오미크론 ba1에 3249
스텔소미크론 비에이투의 이천사백사십팔로 상당히 높습니다.
그만큼 이 하이브리드 인뮤니티가 이 백신 접종 후에 자연 감염까지 돼서 항체가 생긴 경우 항체가 이렇게 높게 나온다는 것이고 거의 오리지널 바이러스에 준할 정도로 똑같지는 않지만 높죠.
단 오리지널 오미크론 ba1에 비해서 ba2 스텔스 오미크론에 대한 중앙채가는 1.3배 정도 다소 낮다
그렇지만 여전히 방어할 수 있을 만큼 높게 유지가 된다.
그런 얘기고 지금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의 항체가가 비슷하게 높기 때문에 오미크론에 걸린 다음에 이 스텔스 오미크론의 걸릴 가능성은 낮다라는 것을 설명해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지금 이제 이런 3차 접종의 중요성 이 오미크론에 걸렸을 때나 스텔스 오미크론에 걸렸을 때나 중앙 채가는 3차 접종 후에 높게 유지가 된다.
약간 스테스오미크론에 대해서 중앙체가가 약간 낮긴 하지만 1.3배 정도 낮긴 하지만 여전히 방어는 유효하고
오리지널 오미크론 감염 후에 스테스 오미크론 감염에 우려는 낮다라는 것을 이제 이 연구 결과는 뒷받침하고 있는 겁니다.
지금 이제 오미크론이 이제 크게 유행하는 이유는 전염력이 높기 때문에 현재 이제 크게 유행하고 또 우리나라의 경우에 3차 접종자가 63%밖에 안 되다 보니까 1 2차 접종은 성인에서 거의 97% 2차 접종까지 했지 않습니까
그렇지만 2차 접종률은 지금 오미크론의 스트레스 오미크론 방어에는 거의 무용지물 수준이기 때문에 3차 접종을 적극 받아야지 감염 우려는 낮을 것 같으나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 결과가 현 상황을 뒷받침해 주는 것 같습니다.
이상 백신 접종자
또 부스터 접종자 그 다음에 백신 접종 후 자연감염 하이브리드 이뮤니티 가진 사람에서의 중화항체 역가가 오리지널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을 얼마큼 중화할 수 있는지를 설명드렸습니다.
'과학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의 생산과정 원리 (철광석의 가공) (0) | 2022.04.05 |
---|---|
지구온난화와 바이러스 인류의 멸종 (0) | 2022.04.05 |
블랙홀을 이용한 빅뱅의 증명 스티븐 호킹 박사 (0) | 2022.03.30 |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목성의 위성 유로파 (0) | 2022.03.30 |
지구온난화의 진짜 원인 소와 가축의 이산화질소와 메탄 (0) | 2022.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