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글 응용 프로그램 소개

구글 설문지 문항의 종류와 응용방법(3탄) -단답형, 장문형, 객관식, 체크박스, 드롭다운, 파일업로드, 선형배율, 객관식 그리드, 체크박스 그리드, 시간, 날짜

by 푸른바다99 2021. 6. 9.
반응형

구글 설문지 문항의 종류와 응용방법(3탄)- 단답형, 장문형, 객관식, 체크박스, 드롭다운, 파일업로드, 선형배율, 객관식 그리드, 체크박스 그리드, 시간, 날짜

 이제 구글 설문지 문항의 마지막 시간으로 문항의 종류와 응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설문 문항의 종류에는 단답형, 장문형, 객관식 질문, 체크박스, 드롭다운, 파일 업로드, 선형 배율, 객관식 그리드, 체크박스 그리드, 시간, 날짜 등의 형식이 있습니다. 그럼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가장 단순한 질문을 할 때는 단답형으로 작성을 합니다. 단답형과 장문형은 언뜻 보기에는 길이만 다른 설문 문항 같지만, 실제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체점의 기준을 정할 때 입니다. 단답형의 경우는 아래 답안 버튼을 클릭하여 정답의 기준을 제시할 때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점수를 맞고 틀림을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정답의 기준을 제시하는 기준은 두 가지 인데 첫째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단어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독도는 누구의 땅인가? 단답형 질문에 답을 클릭하여 채점기준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단어는 한국, 대한민국, 우리나라 등으로 입력하면 정답 처리 됩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장문형은 이런 답안의 정답을 설정할 때 이런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채점을 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 그림이 장문형인데 장문형은 채점의 답안에서 단답형과는 다르게 정답을 명확하게 정할 수는 없습니다. 

 

 객관식 질문은 말 그대로 객관식 문항을 여러개 설정하는 것입니다. 옵셔추가 또는 기타 추가 버튼을 누르면 항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답안 설정은 정답에 체크하면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체크박스는 객관식과 거의 설정이 비슷합니다. 체크하는 란이 원형이냐 네모체크냐 하는 정도의 차이 입니다. 보통 어떤 미션을 완료하였으면 체크해 주세요. 라는 문항을 활용할 때 쓰임새가 좋습니다. 

 

 드롭다운은 아래의 화면처럼 설정합니다. 설정하는 모양은 객관식이나 체크박스와 동일합니다. 

 

실제로 드롭다운의 문항입니다. 콤보박스를 크릭하면 아래처럼 보기가 주욱 나오는 식입니다. 

 

 

 파일 업로드는 말 그대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문항입니다. 아래는 파일 업로드를 하는 양식입니다. 최대 파일 수와 최대 파일 크기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대 파일 용량은 1GB 입니다.

 

 선형 배율은 보통 만족도 설문에 많이 응용합니다.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이렇게 나눈다고 한다면 1을 매우만족으로 설정하고 10을 매우 불만족이라고 설정 하면 가운데 원들이 생겨서 정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객관식 그리드입니다. 객관식 그리드는 만드는 화면은 아래와 같고 실재로 구현되는 그림은 그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가지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설정할 때 사용하면 좋은 문항지 입니다. 

다음은 체크박스 그리드 입니다. 객관식 그리드와 차이점은 체크하는 란이 원형이면 객관식 그리드이고 체크박스이면 체크박스 그리드 입니다. 여러개의 항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만들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다음은 날짜와 시간을 입력하는 문항입니다. 우선 샘플로 아래처럼 생일이나 태어난 시를 입력하라는 문항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날짜는 달력에서 찍어서 표시할 수 있고 시간은 그냥 숫자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채점까지 처리하시면 성적 처리 결과도 응답자가 확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학습에서 설문지를 확인 문제지로도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구글 설문지는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아주 쉽게 만드실 수가 있습니다. 링크 공유나 설정에서 부분만 쫌 꼼꼼하게 알아두신다면 활용도가 아주 높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