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원리, 폐포 기체교완원리, 높은곳에서 숨이 차는 이유
■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원리
숨을 들이마실 때에는 갈비뼈가 위로 올라가고 가로막이 아래로 내려가 흉강이 커지고 흉강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밖에서 폐로 들어간다.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숨을 들이마실 때 압력이 높은 대기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폐로 이동하는 것이다.
■ 기체 교환
폐포와 조직 세포에서 기체 교환은 기체의 농도 차에 따른확산으로 일어난다. 산소와 이산화 탄소가 각각 농도가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높은 곳에 가면 숨이 가빠지는 까닭
지표면의 공기에는 우리 몸에 중요한 산소가 21 % 정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가 희박해지고 산소도 줄어든다. 따라서 높은 곳에 올라가면 줄어든 산소를 보충하려고 숨을 자주 쉬게 되어서 호흡수가 많아지고 숨이 가빠진다.
반응형
'과학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팥의 역할과 위치 소변검사 (0) | 2021.12.08 |
---|---|
혈액순환 중 체순환과 폐순환이란 (0) | 2021.12.08 |
우리몸의 소화기관 입, 식도, 작은창자, 큰창자, 항문, 간, 쓸개, 이자, (0) | 2021.12.08 |
우리몸의 뼈의 이름과 기능 (0) | 2021.12.08 |
대뇌, 간뇌, 중간뇌, 소뇌, 연수의 기능 (0)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