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 상식82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성 - 소금과 타이어 마모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성 우리는 매일 먹고 있지만 모르는 것이 있습니다. 매 순간 숨을 쉬고 있지만 모르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미세 플라스틱입니다. 얼마 전 국내산 천일염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됐다고 합니다. 조금 과장해서 매주 신용카드 한 개의 양을 섭취한다는 보도도 있었스니다. 천일염에서는 최대 28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됐는데 1인당 매년 500개에서 8천 개를 먹을 수도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소금만으로도 매년 네 개의 플라스틱 카드를 먹게 되는 샘입니다. 이렇게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이야기는 흘러나오고 있는데 도대체 어디서 볼 수 있는지 어떻게 확인해야 할지 얼마나 위험한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분해되어 미세 플라스틱이 되고 그것이 물과 소금 수산물에 섞여 우리가 섭취한.. 2021. 12. 22.
콩팥의 역할과 위치 소변검사 콩팥의 역할과 위치 소변검사 1. 내 몸의 정수기, 콩팥 콩팥은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거름 장치 역할을 한다. 콩팥은 혈액에 있는 노폐물을 걸러 낼 뿐만 아니라 쓸모 있는 물질을 다시 혈액으로 돌아가게 한다. 하루 동안 콩팥에서 여과되는 혈액의 양은 약 160 L∼~180 L에 달하지만 대부분이 혈액으로 다시 흡수된다. 즉, 여과된 수분의 99 %는 혈액으로 되돌아가고 나머지 1 %만 노폐물과 함께 오줌이 된다. 오줌은 오줌관을 통해 방광으로 들어가고, 방광에 일정량의 오줌이 모이면 방광 벽에 분포한 신경에 의해 오줌이 마렵다고 느끼고 중추 신경계의 명령으로 오줌을 몸 밖으로 배설한다. 2. 소변 검사 해마다 초등학교에서는 소변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므로 소변 검사는 학생들에게 익숙하다. 소변 검사 결과 .. 2021. 12. 8.
혈액순환 중 체순환과 폐순환이란 혈액순환 중 체순환과 폐순환이란 ■ 혈액 순환 • 온몸 순환(체순환)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동맥을 거쳐 각 기관의 모세 혈관으로 이동하고, 각 기관의 모세 혈관을 거친 혈액은 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돌아간다. 혈액이 모세 혈관을 지나가는 동안 혈액에 포함된 영양소와 산소가 모세 혈관 주변의 조직 세포로 이동하고, 조직 세포에서 발생한 이산화 탄소와 노폐물이 모세 혈관으로 이동한다. 또한 기관의 기능에 따라 혈액에 있는 노폐물이 빠져나가기도 하고(콩팥), 영양소를 주고받기도 한다(간). 폐를 거치는 혈액 순환을 제외한 심장과 온몸 사이의 혈액 순환을 온몸 순환(체순환)이라고 한다. • 폐순환 폐순환은 혈액이 이동하면서 폐에서 산소를 받아들이고, 온몸의 세포에서 받아 온 이산화 탄소를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으로.. 2021. 12. 8.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원리, 폐포 기체교완원리, 높은곳에서 숨이 차는 이유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원리, 폐포 기체교완원리, 높은곳에서 숨이 차는 이유 ■ 숨을 들이마실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원리 숨을 들이마실 때에는 갈비뼈가 위로 올라가고 가로막이 아래로 내려가 흉강이 커지고 흉강 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밖에서 폐로 들어간다.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숨을 들이마실 때 압력이 높은 대기의 공기가 압력이 낮은 폐로 이동하는 것이다. ■ 기체 교환 폐포와 조직 세포에서 기체 교환은 기체의 농도 차에 따른확산으로 일어난다. 산소와 이산화 탄소가 각각 농도가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높은 곳에 가면 숨이 가빠지는 까닭 지표면의 공기에는 우리 몸에 중요한 산소가 21 % 정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 2021.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