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과 상식

연소의 조건

by 푸른바다99 2021. 9. 23.
반응형

연소의 조건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빠르게 결합하면서 빛과 열을 방출하 는 산화 반응이다. 연소는 물질이 지닌 화학 에너지를 열에너 지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현상이며, 가스, 초, 나무를 태우는 것이 연소 반응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연소의 3요소는 탈 물질(가연물), 산소, 열(발화점 이상의 온 도)이다. 이 3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연소 반 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연소 반응이 일어나고 있더라도 불이 꺼진다. 이러한 현상을 소화라고 한다.

 

⑴ 탈 물질(가연물): 불에 탈 수 있는 재료로 고체 연료(연탄, 나무, 종이, 숯, 초 등), 액체 연료(석유, 휘발유, 알코올 등), 기체 연료(천연가스, 뷰테인 가스, 프로페인 가스 등)가 있다.

 

⑵ 산소: 산소는 공기의 약 21 % 정도를 차지한다. 물질마다 연소에 필요한 산소 농도는 다르다. 나무는 산소 농도가 17 % 이상일 때, 종이는 산소 농도가 14 % 이상일 때 불이 붙는다.

 

⑶ 열(발화점 이상의 온도): 발화점이란 물질이 스스로 불이 붙는 온도이다. 물질이 연소하려면 발화점 이상으로 온도를 높일 열이 필요하다. 우리가 물질을 연소시키려고 불을 가져다 대 는 것은 물질을 발화점 이상의 온도로 쉽게 올리기 위한 것 이다.

 

✽자료 출처: 이해평·박영주. 『연소 공학』. 화수목, 201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