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 상식82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 ■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현상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므로 물질 의 성질이 달라지는데, 이때 생성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 양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 대부분의 물질은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여러 가지 현상이 동시에 일어난다. ▲ 빛과 열 발생: 초나 알코올, 나무 등의 연소 반응에서 빛과 열이 발생한다. ▲ 기체 발생: 달걀 껍데기를 묽은 염산에 넣으면 이산화 탄소가 발생한다. ▲ 앙금 생성: 석회수가 이산화 탄소 와 반응해 탄산 칼슘이 생성되어 석회수가 뿌옇게 흐려진다. ▲ 색깔, 냄새, 맛 변화: 껍질을 벗겨 놓은 사과나 감자의 색깔이 변 한다. 2021. 9. 23.
연소의 종류(증발연소, 표면연소) ■ 연소의 종류(증발연소, 표면연소) 일반적으로 물질이 탈 때에는 기체가 연소하면서 불꽃이 생 긴다. 석유나 양초가 연소할 때의 불꽃은 액체나 고체를 가열 했을 때 증발하는 기체가 연소하기 때문에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를 ‘증발 연소’라고 한다. 나무가 연소할 때도 불꽃이 생기는데 나무의 성분이 열분해 되어 생긴 가연성 기체가 연소하기 때문이다. 석탄 등도 열분 해되어 가연성 기체가 발생해 연소한다. 기체 상태의 연소가 아니라 고체 상태 그대로 연소하는 것은 ‘표면 연소’라고 한다. 숯(목탄)은 산소와 접촉하는 표면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며 화염이 발생하지 않고 빛과 열을 내며 연소 한다. ✽자료 출처: 이해평·박영주. 『연소 공학』. 화수목, 2015. 2021. 9. 23.
초의 연소 원리 초의 연소 원리 고체 상태의 초는 촛불의 열에 의해 녹으면서 모세관 현상으 로 심지에 액체 상태로 흡수된다. 불이 붙은 심지에서는 액체 상태의 초 일부가 기화하면서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는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초에 불을 붙이고 초의 심지 근처에 알루미늄박으로 만든 관을 가져다 대면 관의 반대편으로 흰 연기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흰 연기에는 기체 상태의 파라핀, 김, 그을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흰 연기에 점화기의 불꽃을 가까이 하면 불이 붙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초가 기체 상태로 연소하기 때문 이다. 또 촛불을 끈 직후 흰 연기가 올라올 때 연기에 불꽃을 가져 다 대면 심지에 불이 붙는 것을 볼 수 있다. 타고 있는 초에 세게 바람을 일으키면 기체 상태의 연료가 바람에 의해 날아가기.. 2021. 9. 23.
소화의 원리 소화의 원리 ⑴ 제거 소화(탈 물질 없애기): 탈 수 있는 물질을 불이 타고 있 는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 탈 물질을 없애 불을 끄는 것 이다. 기름통에 불이 났을 때 기름을 빼내는 것, 프로페인 가스에 불이 붙었을 때 연료 조절 밸브를 잠그는 것 등이 제거 소화에 해당한다. ⑵ 질식 소화(산소 공급 막기): 타고 있는 물질에 이산화 탄소를 뿌리면 산소 비율이 낮아져 불이 꺼진다. 소화제 가루나 거품을 뿌리는 것, 불이 난 곳 에 담요나 이불, 흙, 모래 등 을 덮는 것 등이 질식 소화에 해당한다 ⑶ 냉각 소화(발화점 미만으로 온도 낮추기): 불이 난 곳에 물을 뿌 려 발화점 미만으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 가장 일반 적인 소화 방법이다. 단, 기름 이나 전기 화재의 경우 물을 뿌리면 절대로 안 된다.. 2021.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