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 상식82

연소의 조건 연소의 조건 연소는 물질이 산소와 빠르게 결합하면서 빛과 열을 방출하 는 산화 반응이다. 연소는 물질이 지닌 화학 에너지를 열에너 지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현상이며, 가스, 초, 나무를 태우는 것이 연소 반응의 예라고 할 수 있다. 연소의 3요소는 탈 물질(가연물), 산소, 열(발화점 이상의 온 도)이다. 이 3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지 않으면 연소 반 응이 일어나지 않으며, 연소 반응이 일어나고 있더라도 불이 꺼진다. 이러한 현상을 소화라고 한다. ⑴ 탈 물질(가연물): 불에 탈 수 있는 재료로 고체 연료(연탄, 나무, 종이, 숯, 초 등), 액체 연료(석유, 휘발유, 알코올 등), 기체 연료(천연가스, 뷰테인 가스, 프로페인 가스 등)가 있다. ⑵ 산소: 산소는 공기의 약 21 % 정도를 차지.. 2021. 9. 23.
물질의 화학 변화(연소, 부식, 숙성과 부패) 1. 물질의 화학 변화 물질의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물리 변화라고 하고, 물질 본래의 성질이 변하는 것을 화학 변화라고 한다. ⑴ 연소 반응: 물질을 태우면 원래 물질과는 성질이 다른 물질(물, 이산화 탄소 등)이 생성된다. ⑵ 금속의 부식: 금속을 공기 중에 놓 아두면 원래 금속과는 성질이 다른 물질(녹)이 생성된다. ⑶ 음식의 숙성과 부패: 김치가 익거나 음식이 썩으면 성질이 다른 새로 운 물질이 생성되어 색깔이나 맛 이 달라진다. 2021. 9. 23.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 (태양고도의 원리) ■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 6월 21일 무렵에 태양은 북위 23.5 °를 수직으로 비추어 북 반구가 남반구에 비해 더 많은 태양 에너지를 받게 된다. 만약 6월 21일 정오에 북위 23.5 ° 선상에 서 있다면 바로 그 지점에 서 수직을 이룬 하늘에 태양이 높이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날을 하지라고 하며 천문학적으로 북반구의 여름이 시작되 는 날이다. 9월 22일 무렵에 태양은 적도 바로 위에 위치한다. 이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이날을 추분이라고 하며 천문학적으로 북반구의 가을이 시작되는 날이다. 추분으 로부터 3개월 후인 12월 21일 무렵은 연중 낮이 가장 짧은 동 지이며 천문학적으로 북반구의 겨울이 시작되는 날이다. 이날 태양은 남위 23.5 °, 즉 남회귀선 바로 위에 위치.. 2021. 9. 23.
태양의 남중 고도와 태양 에너지 ■ 태양의 남중 고도와 태양 에너지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 변화는 다음과 같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양에 영향을 준다. 첫째, 태양이 머리 위로 높이 떠 있을수록 단위 면적당 태양 에너지양이 많아진다. 고도가 낮아지면 태양 광선은 넓게 퍼지 게 되고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양이 적어진다. 이것은 수직 방향으로 손전등을 비추면 작고 밝은 점으로 불빛의 상이 맺히지만 비스듬히 비추면 그 상이 넓게 퍼지고 더 어둡게 되 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둘째,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을수록 낮의 길이가 더 길어진 다. 따라서 태양의 남중 고도가 높은 여름에는 낮의 길이가 길 어지기 때문에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양이 많아진다. 셋째, 작은 영향이지만, 태양 고도는 태양 광선이 대기를 통 과하는 .. 2021.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