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

도덕적 성찰 수업 시 유의 사항, 성찰 학습 촉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by 푸른바다99 2021. 7. 22.
반응형

도덕적 성찰 수업 시 유의 사항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는 다양한 도덕적 기능을 적절하게 실천해야 한다. 성찰의 대상이 되는 도덕적 경
험, 사건, 문제에 따라 가장 중요한 기능이 무엇인가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탁월한 도덕적 성찰 능력
에는 자신의 도덕적 경험에 대해 효과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그것을 추구하는 기술과 지식이 포함된다. 배
타적이고 근시안적인 도덕 관점은 도덕적 경험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저해한다.
탁월한 도덕적 성찰에 필요한 중요한 조건은 다르거나 새로운 도덕적 관점에 대한 개방성이다. 이미 잘
확립된 도덕적 견해를 적용하는 문제는 도덕적 탐구의 초점이며, 도덕적 성찰의 핵심은 도덕적 경험에 대
한 비판적 성찰이기 때문이다. 특정 가치의 입장이 자신의 도덕적 반응과 가치 가정에 직접적으로 도전한
다 해도 그것을 무시하거나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자세가 도덕적 성찰 과정
에 필요하다.
성찰 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교사와 학생 모두 개방성을 지녀야 한다. 성찰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성찰에 몰두하고 열의를 지녀야 하며, 서로의 경험으로부터 배우기 위해 서로에게 개방적이어
야 하며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열의가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질 때 교실은 진정한 학습 공
동체가 된다. 교사는 전문 지식의 제공자라는 지위에서 학생들과 의미와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하는 촉진
자로서 변화할 것을 요구받는다. 그것은 자기 노출에 대한 개방성, 자신의 편견, 가치, 행위에 대한 비판
적 조사, 적극적 경청과 공감 등을 요구한다. 다른 사람의 도덕적 관점에 대한 개방성은 탁월한 도덕적 성
찰에서 핵심인 것이다.


<출처: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윤리 교육 연구』 제27호(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25쪽.>


성찰 학습 촉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업에서 성찰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는 학습 상황과 공간을 제공하고, 성찰의 과정을 거치는 학생
들을 지지하고 격려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학생들이 사용 가능한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과거 경험으로 돌아가기 단계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경험한 것을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기술하되 해
석과 분석을 피하고 학생들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자신의 해석과 분석
을 제공해서는 안 된다. 감정에 주목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에서 느꼈던 과거의 감정
을 지각하고 떠올리도록 격려할 수 있다. 이때 교사가 학생들의 발언이나 반응에 무조건적으로 긍정적 관
심을 보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김국현,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교원 교육』 제29권 제4호(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219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