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 상식

선택의 발생, 선택과 기회비용

by 푸른바다99 2021. 9. 10.
반응형

• 선택의 발생

 사람은 누구나 한 개를 가지면 한 개를 더 갖고 싶어 한 다. 예쁜 옷을 입고 나면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하며, 새 컴퓨터를 갖고 싶어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만족 시키려고 많은 것을 가지고 싶어 한다. 그러나 사람은 모든 욕구를 다 채우면서 살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가지 려면 돈을 내야 하는데, 쓸 수 있는 돈은 한정되어 있으므 로 가장 필요하거나 갖고 싶은 것부터 선택해서 사야 한다.

 

• 선택 상황의 발생

 선택이 발생한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민정이는 1,000원을 가지고 가게에 가서 가격이 각각 1,000원인 사탕과 과자를 둘 다 살 수 없으며 둘 중에 하나 를 선택해야 한다. 민정이가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까닭은 둘 다 사기에는 돈이 희소하기 때문이다. 민정이가 잠자리에 들기까지 한 시간 정도가 남았다. 한 시간 동안 민정이는 놀고 싶지만, 숙제도 해야 한다. 이때 숙제하는 데에도 한 시간이 걸리고 노는 데에도 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둘 다 할 수는 없다. 시간은 희소하기 때 문에 숙제와 노는 것 가운데 한 가지만 선택해야 한다. 이처럼 우리가 선택해야 하는 까닭은 희소성 때문이다. 돈이 희소하기 때문에 그 돈으로 무엇을 살 것인지를 선택 하고, 시간이 희소하기 때문에 그 시간에 무엇을 할 것인지 를 선택해야 한다.

 

• 선택과 기회비용

 민정이는 1,000원으로 과자를 사 먹기로 결정했다. 민정 이는 사탕과 과자 중에서 과자를 선택했으므로 사탕을 포기 해야 한다. 이때 민정이가 과자를 선택하면 ‘사탕을 먹을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하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의미에서 기 회비용이 생긴다. 이처럼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것은 포기해야 하는데 이때 포기한 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 시골 쥐의 집을 방문한 서울 쥐는 초라한 집과 형편없는 음식에 실망하고 시골 쥐를 서울의 자기 집으로 초청했다. 시골 쥐는 서울 쥐가 살고 있는 으리으리한 집과 예쁜 가 구, 맛있는 음식에 반해 자기도 시골을 떠나 서울에서 살까 하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서울에서는 사람이나 고양이에 게 잡힐까 불안해서 음식도 제대로 먹을 수 없었고 잠도 편 안하게 잘 수 없었다. 마침내 시골 쥐는 서울에서 살기를 포기하고 시골에서 살기로 선택했다. 시골 쥐가 시골에서 살기로 선택할 때의 기회비용은 서울에서 사는 것이다. 어떤 선택이든지 기회비용이 따르며, 기회비용이 적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다.

 

[출처] 한진수(2012),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