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 상식

생산성과 자본의 관계, 생산성과 생활 수준의 관계

by 푸른바다99 2021. 9. 10.
반응형

생산성과 자본의 관계, 생산성과 생활 수준의 관계

 

<생산성>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근로자 한 사람이 정해진 시간 동 안 생산한 물건의 양을 말한다. 만약 같은 시간 동안 우리 나라 근로자가 중국 근로자보다 더 많은 물건을 생산한다 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생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어떤 근로자가 이전보다 더 많이 생산한다면, ‘근로자의 생 산성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생산성과 자본의 관계>

 자본은 필수적인 생산 요소로 적절히 활용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목수가 망치를 사용하는 것, 사냥꾼이 총을 사용하는 것, 선생님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근로자가 기 계를 사용하는 것은 모두 생산성을 높이려고 자본을 사용 하는 예시이다. 만약 자본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방 청소를 할 때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휴지나 먼지 를 일일이 손으로 집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자본이 없다면 생산성은 낮아지고, 같은 일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 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자본의 중요성은 4,500년 전의 이집트인들도 알고 있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특히 쿠푸왕의 피라미드를 지으려면 한 개에 2.5톤 무게가 나가는 돌을 230만 개 쌓아야 했다. 만약 이집트인 들이 사람의 노동만으로 피라미드를 짓고자 했다면 실패했 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그들은 피라 미드를 건설할 때 뗏목, 썰매, 경사로 등의 다양한 자본을 이용했다. 쿠푸왕의 피라미드는 최소 3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려 완성되었다. 그렇지만 오늘날 사람들은 피라미드보다 더 높은 큰 건물을 1년 만에 짓는다. 썰매나 경사 도로보다 더 뛰어난 기계 등의 자본을 활용해 이전보다 생산성이 높 아졌기 때문이다. 사냥할 때 사용하는 자본은 돌멩이에서 화살로, 화살에서 총으로 발전했다. 사람이 이동할 때 사용 하는 자본은 인력거에서 마차로, 이후 자동차와 비행기로 발전했다. 이처럼 사람들은 더 좋은 자본을 이용하려고 노력해 왔 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생산성은 과거보다 많이 높 아졌다.

 

<생산성과 생활 수준의 관계>

 사람들은 생산 활동으로 돈을 벌어 소비 활동을 한다. 생 산성이 높아진다면 같은 시간을 일해도 더 많은 재화와 서 비스를 생산할 수 있으며 더 많이 생산한 대가로 많은 돈을 벌 수 있다. 늘어난 소득으로 더 많은 재화나 서비스를 소 비할 수 있으며 생활 수준이 높아진다.

 

[출처] 한진수(2012),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한국은행.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