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합 과학 탐구 기능
1. 문제 인식이란
자연 현상의 관찰로부터 문제를 파악하고, 탐구의 방법 및 내용 등이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자신의 언어로 문제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2. 가설 설정이란
탐구 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인 가설을 조작 변인과 종속 변인 사이의 예상되는 관계로 검증 가능한 진술을 만드는 과정이다.
3. 변인 통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을 확인하고,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 변인 중 조작 변인 외의 다른 변인을 통제하는 과정이다.
4. 자료 변환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은 자료를 다른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표나 그래프등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반응형
'과학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인간 과연 가능할까? (0) | 2022.01.02 |
---|---|
미세 플라스틱 이란 무엇이며 그 기준은 정해졌는가? (0) | 2021.12.25 |
미세 플라스틱의 위험성 - 소금과 타이어 마모 (0) | 2021.12.22 |
콩팥의 역할과 위치 소변검사 (0) | 2021.12.08 |
혈액순환 중 체순환과 폐순환이란 (0)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