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

우리나라의 세계 기록 유산

by 푸른바다99 2021. 7. 15.
반응형

우리나라의 세계 기록 유산


 세계 기록 유산은 기록을 담고 있는 정보 또는 그 기록을 전하는 매개물이다. 단독 기록일 수 있으며 기록의 모음
(archival fonds)일 수도 있다. 유네스코는 1995년에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인데도 훼손되거나 영원히 사라
질 위험에 있는 기록 유산의 보존과 이용을 위하여 기록 유산의 목록을 작성하고 효과적인 보존 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세계 기록 유산(Memory of the World) 사업을 시작하였다.
• 필사본, 도서, 신문, 포스터 등 기록이 담긴 자료와 플라스틱, 파피루스, 양피지, 야자 잎, 나무껍질, 섬유, 돌 또는 기
타 자료로 기록이 남아 있는 자료


•그림, 프린트, 지도, 음악 등 비문자 자료(non-textual materials)
•전통적인 움직임과 현재의 영상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원문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의 정지된 이미지 등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전자 데이터


<출처 유네스코와 유산>
종묘 제례 및 종묘 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 단오제(2005), 처용무(2009), 강강술래(2009),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2009), 남사당놀이(2009), 영산재(2009), 대목장,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2010), 매사냥, 살아 있는 인류 유산(2010), 곡, 관현악 반주로 부르는 서정적 노래(2010), 줄타기(2011), 택견, 한국의 전통 무술(2011), 한산 모시 짜기(2011), 아리랑, 한국의 서정 민요(2012),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2013), 농악(2014), 줄다리기(2015), 제주 해녀 문화(2016). 조선왕조실록(1997), 훈민정음(해례본)(1997), 승정원일기(2001),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2001), 조선왕조 의궤(200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동의보감(2009), 일성록(2011), 1980년 인권 기록 유산 5 ·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2011),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2013), 한국의 유교 책판(2015),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 국채 보상 운동 기록물(2017), 조선 통신사에 관한 기록_17~19세기 한 일· 간 평화 구축과 문화 교류의 역사(2017), 조선 왕실 어보와 어책(2017).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