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관련 국가 무형 문화재
1. 종묘 제례악- 조선 시대 역대 군왕의 신위를 모시는 종묘와 영녕전의 제향에 쓰이는 음악
2 양주 별산대놀이- 서울과 중부 지방에 전승되어 오는 산대놀이의 한 분파
3 남사당놀이- 조선 시대 유랑 연예인 집단인 남사당의 연희 내용
5 판소리- 한국의 전국 일원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농민 음악
6 통영 오광대-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해 내려오는 민속 가면극
7 고성 오광대- 경상남도 고성 지방에 전승되는 탈놀이
8 강강술래- 전라도 지방의 민속놀이
11 농악- 한국의 전국 일원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농민 음악
13 강릉 단오제- 강원도 강릉에서 단옷날을 전후하여 서낭신에 지내는 마을 공동 축제
15 북청 사자놀음- 함경남도 북청군 일대에서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며칠 동안 연희된 사자놀이
16 거문고 산조- 거문고를 위한 독주곡
17 봉산 탈춤- 황해도 봉산 지방에 전승되어 오는 가면극
18 동래야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전승되어 오는 탈춤
19 선소리산타령- 경기도를 비롯하여 서도 남· 도 지방의 잡가 중 서서 부르는 선소리의 대표적 곡목
20 대금 정악- 정악으로 연주하는 대금곡의 총칭
21 승전무-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승되는 민속 무용
23 가야금 산조 및 병창-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및 가야금으로 반주를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음악
27 승무- 한국의 민속 무용
29 서도 소리- 평안도 · 황해도 등 관서 지방의 향토 가요
30 가곡-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시조를 노래 부르는 한국의 전통 성악곡
34 강령탈춤- 황해도 강령 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해서 탈춤의 하나로 일종의 가면극
39 처용무- 궁중 ‘나례(儺禮)’나 중요 연례(宴禮)에 처용의 가면을 쓰고 추던 탈춤
40 학연화대합설무- 고려 시대부터 전해 오는 향악 정재
41 가사- 한국의 전통 성악곡
45 대금 산조- 대금을 위한 산조 독주곡
46 피리 정악 및 대취타- 왕이나 귀인의 행차, 군대의 행진에서 취고수들이 연주하는 행진 음악
49 송파산대놀이- 서울 송파구 송파동에 전승되어 오는 산대놀이
50 영산재- 불교 의식의 하나
51 남도 들노래- 전라남도 진도 · 나주 지방에서 논일이나 밭일을 할 때 부르는 노동요의 총칭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세가지 강점 지능의 조합) (0) | 2021.07.19 |
---|---|
다중지능 과 다중지능에 맞는 추천 직업군 (0) | 2021.07.19 |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특징 (0) | 2021.07.19 |
우리나라 문화재의 종류(국가 지정 문화재, 시도 지정 문화재) (0) | 2021.07.15 |
우리나라의 세계 기록 유산 (0) | 2021.07.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