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찰적 글쓰기
성찰은 기존의 인지 구조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경험이나 지식을 평가하고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성찰은 우리의 사고나 신념체계가 가지고 있는 왜곡을 수정하고 발전적 학습으로 지향
해 가기 위한 동인(動因)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성찰은 개인적 성찰과 사회적 성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개인적 성찰
은 자신의 경험과 학습한 내용에 대해 성찰하는 것을 말하며, 사회적 성찰은 특정 팀에 속해 팀원들과 토론 및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협력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찰을 의미한다. 성찰적 글쓰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을 문자화하는 과정을
거쳐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갖고 자아 존중감을 회복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의 본질을 깨달아 치유하는 것에 있다.
<출처: 이경희, 「도덕과 수업에서 비판적·성찰적 글쓰기 -프로젝트 학습과 교육 토론을 중심으로-」, 『윤리 교육 연구』 제
40집(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283~299쪽.>
반응형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크라테스 이야기- 악법도 법이다. (0) | 2021.07.22 |
---|---|
도덕적 성찰의 의미 (0) | 2021.07.22 |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0) | 2021.07.22 |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0) | 2021.07.22 |
윤동주와 「자화상」 (0) | 2021.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