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성찰의 의미
도덕적 성찰은 과거의 도덕적 경험을 떠올려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 도덕적 판단, 의도, 신념을 조사
하고, 과거의 경험이 현재 자신의 도덕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을 기초
로 도덕적 삶의 실천 방안을 결정하는 사고의 과정을 말한다. 즉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포괄하는 도
덕적 경험에 대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도덕적 사고 과정이다.
도덕적 성찰의 대상이 되는 경험은 개인의 내면에 존재하는 도덕적 갈등, 타인과의 관계, 사회·국가·
지구 공동체와의 관계에서의 도덕적 경험, 그리고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에서 겪은 도덕적 경험이
포함된다.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는 우선 경험에서의 행동, 감정, 도덕적 의도 등이 조사된다. 다음으로 이
상적인 도덕적 행위와 인격 특성 측면에서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도덕적 삶과 관련되는 점과 영향을 미치
고 있는 것이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경험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배운 것을 앞으로 삶에서 실천할 도덕
적 행동 유형과 인격 특성으로 설정한다. 도덕적 성찰은 과거-현재-미래의 시간 구조에 기초하고, 도덕
적 경험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거친다는 점, 특정 이론이나 규칙보다는 도덕적 행동 유형과 인격 특성을
준거로 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탐구보다 포괄적이고 실천 지향의 도덕적 사고이다.
도덕적 성찰은 이상적인 도덕적 행동 유형과 인격 특성을 준거로 자신의 독특한 경험과 도덕적 의도를
되돌아본다. 먼저 도덕적 성찰은 이상적인 도덕적 행동 유형에 관심을 둔다. 개인의 경험과 그것에 대한
그의 도덕적 반응, 즉 도덕 행동에 관심을 둔다. 자신의 도덕적 경험과 자신이 반응하거나 반응하지 않은
것, 자신이 행동하거나 행동하지 않은 것에 관심을 둔다. 특정 상황에 대한 자신의 도덕적 반응이 적합했
는지 아닌지, 예를 들면 도덕적 상황을 적절하게 이해했는지 또는 자신이 생각하기에 실제로 자신을 움직
인 것이 억측의 의도였는지 아니었는지에 관심을 둔다.
다음으로 도덕적 성찰은 인격 특성에 관심을 둔다.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 개인은 잘못된 습관을 확인하
고 새로운 습관을 발달시킬 기회를 가진다.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 개인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관해, 또는 드러내 보이려고 노력하는 인격 특성에 관해 잘못된 신념을 확인하고 교정한다. 그
리고 왜 그러한 유형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은지를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도덕적 성찰을 자신이 어떤
종류의 도덕적 사람이고, 자신이 왜 좋은 사람이며, 자신을 친절한 사람으로 평가하는 것이 정당화되는지
를 묻는 도덕적 자아 분석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도덕적 성찰은 도덕적 자아 분석을 포함하지만 더 포
괄적인 인격 특성에 관심을 두기 때문이다.
도덕적 성찰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인의 도덕적 성숙을 촉진한다. 첫째, 자신의 삶에서 일어난 일들
의 의미를 숙고하고 관계성을 기초로 생각할 기회를 준다. 둘째, 자신의 갈등에 내재된 도덕 문제를 능동
적으로 발견하고 그 의미를 자신의 가치나 삶, 사회적 제도 등의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한다. 셋째, 자신의
가치 갈등을 극복하고 합리적인 윤리적 대안의 실천을 추동한다. 넷째, 자신의 변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또 다른 유의미한 도덕적 경험을 향해 나아가는 기반을 제공한다.
<출처: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윤리 교육 연구』 제27집(한국윤리교육학회, 2012), 8쪽.>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함과 정의의 단계 (0) | 2021.07.22 |
---|---|
소크라테스 이야기- 악법도 법이다. (0) | 2021.07.22 |
성찰적 글쓰기 (0) | 2021.07.22 |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0) | 2021.07.22 |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0) | 2021.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