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와 타협, 다수결의 원칙
<대화와 타협>
대화란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말한다. 사람마다 겉모습이 다른 것처럼 가지고 있는 생각
또한 사람마다 다양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가치나 의견이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고 대화로 서로 이해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타협은 개인이나 집단 사이에 목표나 이해관계가 달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녀야 할 자세이다.
<다수결의 원칙>
다수결의 원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의사 결정 방법의 하나이며,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많은 사람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뜻한다. 문제를 해결할 때 만장일치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이 하나의 의견에 동
의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차선의 방법으로 다수결의 원칙을 흔히 선택한다. 다수결의 원칙은 다수의 의견이 소
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하지만 다수의 의견이 항상 합리적이지는 않다. 다
수결의 원칙을 무조건 맹신할 경우, 다수의 횡포나 중우 정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더 많은 사
람이 찬성했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의 인권을 침해하는 정책이 시행되거나, 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는 곧 다수결
의 원칙이 언제나 올바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수결의 원칙을 활용하되, 다수의 횡포가 되지 않도록 특히 유
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수결의 원칙을 활용하기에 앞서 충분한 대화와 토론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즉. 다수
의 의견과 소수의 의견 모두 토론의 과정에서 동등하게 다른 사람을 설득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 방법으로 각 의
견의 장단점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 또한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정된 사항이 있더라도 다수의 사람은 그것을 반대
했던 소수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며, 소수의 사람 역시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정된 사항을 따라야 한다.
'사회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 열대 우림 연맹(RFA) 인증 표시, 가치 소비의 확산 (0) | 2021.09.10 |
---|---|
민주주의 의미, 대의민주주의 기본정신 (0) | 2021.09.09 |
문답식 토의, 패널식 토의, 대집단 토의,소집단 토의 (0) | 2021.09.09 |
재판과 심급 제도(단심제, 2심제, 3심제) (0) | 2021.09.09 |
삼권분립의 주장(몽테스키외) (0) | 2021.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