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 상식

싱킹 맵(Thinking Map) 그리기

by 푸른바다99 2021. 9. 13.
반응형

싱킹 맵(Thinking Map) 그리기

 

 싱킹 맵은 1998년에 데이비드 하이얼(David Hyerle)이 고안한 시각적 언어이다. 이는 미국에서 학생들의 독학 능력 향상, 글쓰기 과정의 문제 해결, 사고 기술의 향상을 위해 여 덟 가지 유형의 맵으로 일반화되었다. 시각적 유형과 사고 과정을 연결하고 사고 능력과 이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글쓰 기 능력을 증진시킨다.

 

 또한 사고의 연결 고리와 뇌의 유형 을 강화시켜 인지, 자료 처리, 평가와 관련된 기본적인 사고 방법을 훈련할 수 있다. 싱킹 맵의 기법은 학생들이 어려운 문제에 부딪혔을 때,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필요한 창의적인 사고 훈련을 유도한다.

 

 싱킹 맵의 일반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서클 맵(Circle Map), 버블 맵(Bubble Map), 더블 버블 맵 (Double Bubble Map), 트리 맵(Tree Map), 브레이스 맵 (Brace Map), 플로 맵(Flow Map), 멀티 플로 맵(Multi Flow Map), 브리지 맵(Bridge Map)이 있다.

 각각의 맵은 비교와 대조, 계열화, 위계화, 원인과 결과와 같은 기본적 인 인지 기술에 기초했다. 이 맵들을 싱킹 맵이라고 부르는 것은 언어를 둘러싼 각각의 시각적 틀이 모든 학습자들이 사고한 것과 사고한 방식을 명백하게 표현해 의사소통하도 록 안내하기 때문이다.

 

[출처] 방소윤(2012), 「사고력 향상을 위한 미술 감상 지도 방안: 싱킹 맵스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