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 상식

토의, 토론 기법(돌아가면 말하기, 창문열기,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며 쓰기)

by 푸른바다99 2021. 9. 13.
반응형

돌아가며 말하기(Round Robin)

 교사가 제시한 여러 가지 답이 포함된 주제에 대해 생각 나는 것을 이야기하는 활동이다. 수업 중 도입 부분에 사용 해 학습 주제에 관심을 유도할 때 사용하면 좋다.

① 교사가 다양한 해결책, 방법, 경우가 있는 주제를 제시 한다.

② 짝을 지어 학생들은 번갈아 가면서 해결책을 말한다.

③ 서로 물어보거나 다양한 답을 돌아가면서 이야기할 수 있다.

 

 

창문 열기

 창문 열기는 모둠 내에서 토의를 하며 정보를 나누고 정 리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창문 모양의 네 칸에 1부터 4까지 동의한 학생의 수를 표시하고 모둠원의 의견을 듣고 난 후 동의한 학생 수에 해당하는 칸의 의견을 적어 모둠원 모두가 동의한 의견을 결정한다. 다양한 정보를 내놓고 의사 결정 과정을 거쳐 다양한 생 각이나 의견들을 분류하는 동시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해 준다. 생각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활동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① 이끎이 학생부터 주제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예 물질의 성질에 맞는 박물관 이름을 생각해 본다.) ② 박물관 이름을 듣고 난 후 나머지 모둠원들은 손을 들거 나 엄지손가락을 올려 의사 표시를 한다. ③ 기록이 학생이 동의한 학생의 숫자만큼 해당 칸에 해당 단어(박물관 이름)를 기록한다. ④ 돌아가며 박물관 이름을 이야기하고 동의한 학생의 숫 자만큼 해당 단어를 기록이 학생이 기록한다. ⑤ 모든 모둠원이 좋아하거나 동의한 것을 박물관 이름으 로 정한다.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며 쓰기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며 쓰기는 어떤 주제에 대해 돌아 가며 쓰는 구조를 보완한 것이다. 돌아가며 쓰기의 경우 모 둠 내에서 한 장의 활동지와 한 자루의 연필로 활동한다. 반 면에 동시다발적 돌아가며 쓰기는 모둠 내에서 인원수만큼 각기 다른 주제나 질문이 적혀 있는 활동지가 있다. 모둠원 들은 자기 앞에 한 장씩 활동지를 각각 두어 주어진 시간만 큼 활동한다.

① 교사는 학습 주제를 제시한다. (예 배추흰나비의 한살이 과정인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의 각각의 활동지를 제시한다.)

② 모둠원은 각자 자신의 생각을 활동지에 기록한다. 모둠 원들은 각각 알, 애벌레, 번데기, 성충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을 자신에게 주어진 활동지에 적는다. 이때 시간을 정해 줄 수도 있고 한 문장씩만 쓰도록 정할 수도 있다.

③ 모둠원들은 활동지를 돌리면서 서로의 생각을 교환한다.

 

 

[출처] 이해진(2017), 『토의·토론 기법을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 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