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사실 커피는 해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뇌가 1.4kg밖에 안 되는데 우리 몸무게가 한 70kg 정도라고 생각하면 한 이 퍼센트인데 얘가 우리가 먹는 음식 에너지에 거의 이십삼 프로 가까이를 쓰거든요.
뇌가 그렇다는 얘기는 무슨 얘기냐 하면 뇌를 쓴다는 게 굉장히 힘든 일이라는 뜻이에요.
힘들더라고요
나도 장거리 움직이겠죠. 힘들어요.
제가 지금 얼마나 힘들겠어요.
그래서 뭔가 이제 몸에 에너지가 떨어지고 굉장히 피곤하면 뇌를 천천히 쓰라고 어떤 물질이 나와요.
아데노신이라는 물질이 나와요 그래서 그게 나오면은 지금 우리 몸의 에너지가 지금 부족하니까 아주 천천히 사용하도록 부를 과부하를 줄여주는 거죠.
근데 카페인이 하는 일이 그 아데노신을 불락하는 거예요.
그러면 이제 우리 뇌를 속이는 거예요.
에너지가 마치 굉장히 있는 것처럼 너 계속 뇌 써도 돼 계속 속는 거구나 뇌를 속이면서 뇌를 더 많이 쓰라고 지금 하고 있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마약이 그러니까 이제 우리 사회가 아침에 일어나서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은 하루를 보낼 수 없는 굉장히 필요한 사회인 거죠.
뭐 하루를 생활할 수 없는
음 맞아요. 그런데 우리 인간은 대부분이 자기 몸을 이렇게 속이면서 사는 것으로 이렇게 적응이 되어 있는 거 아닌가요 술 각종 이렇게 향신 재료들 이런 것들이
단기적으로는 그게 좀 효과가 있죠. 담배가 대표적인 예거든요.
담배 담배도 피우시지만 담배를 피우면 이게 이제 아세틸콜린이라고 뇌를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영역을 연결시켜주는 그 수용체가 이렇게 잘 붙게 해주는 게 니코틴 수용체에요.
그러니까 담배를 피면 뇌에 멀리 떨어져 있는 영역이 연결이 잘 돼서 생각이 잘 나죠 예 생각이 잘 나고 좋은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고
그래서 뭔가 일이 잘 안 되면 나가서 담배를 피우면 갑자기 머리가 막 돌면서 아이디어가 나오고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근데 문제는 뭐냐 하면은 그런 분들이 담배를 피우시는 분들이 담배를 안 피는 평소에는 보통 사람들보다 연결이 현저히 떨어져 있잖아요.
그렇죠 담배를 안 피면 아무 생각도 안 난다는 단점이 있어요.
끝나서
담배를 피워봤자 효과가 원상 복구하는 것 밖에 안 되는 거지
그러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그걸 안 하는 게 전반적인 상태가 올라가는 거구나
왜냐하면 내가 판단을 하는 거니까 내가 자기한테 좋은 쪽으로 판단을 하는게 유리하게 판단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입니다.
'건강 및 식품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유산균 고르는 법 (0) | 2022.06.09 |
---|---|
간헐적 단식의 올바른 방법 공복시간은 중요하지 않다 (0) | 2022.06.08 |
복부비만의 위험성 내장지방이 생성되는 원리 암과의 연관성 (0) | 2022.04.17 |
방귀는 많이 뀌면 건강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 (0) | 2022.04.17 |
콩팥과 통풍의 관계 (0)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