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과 상식67 모둠 문장 만들기 토의 기법을 통한 토의·토론 수업 모둠 문장 만들기 토의 기법을 통한 토의·토론 수업 모둠 문장 만들기는 케이건(Kagan, 1994)의 협동 학습 구조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일단 개인별 로 과제를 완성한 후에 다음 활동이 진행되므로 토의·토 론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이 없다. 또 자신이 만든 문장이 적절한 위치를 찾아가서 전체 과제의 작품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전체 속의 부분, 조직 속 구성원으로서의 의미를 느 끼게 할 수 있다. 개인별로 만들어 낸 문장으로 토의·토론 이 이루어지며 자신이 만들어 낸 문장이 있으므로 수업에 집중하는 동기가 된다. 이러한 모둠 문장 만들기는 모든 교 과 및 과제에 사용할 수 있다. 모둠 문장 만들기 토의·토론 방법은 다음과 같다 2021. 9. 10. 소득의 순환과 기업의 경쟁과 독점 소득의 순환과 기업의 경쟁과 독점 기업은 재화나 서비스를 팔아 돈을 벌어 생산하는 데 필 요한 자본을 구입하고 일을 한 사람들에게 임금을 주는 데 돈을 쓴다. 사람은 일하고 소득을 얻어 자신이 원하는 재화 나 서비스를 사는 데 돈을 쓰며 다시 돈을 벌려고 생산 활 동에 참여한다. 이처럼 재화와 서비스를 사고파는 과정에 서 돈은 돌고 돌며 이를 소득의 순환이라고 한다. [출처] 한진수(2012),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한국은행 기업이 경쟁하는 까닭은 다른 기업이 만든 재화나 서비스 보다 더 많이 팔아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서이다. 같은 물건 을 파는 여러 기업은 서로 소비자를 차지하려고 경쟁한다. 기업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경쟁한다. 광고, 전단지를 활 용해 홍보하거나.. 2021. 9. 10. 생산성과 자본의 관계, 생산성과 생활 수준의 관계 생산성과 자본의 관계, 생산성과 생활 수준의 관계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근로자 한 사람이 정해진 시간 동 안 생산한 물건의 양을 말한다. 만약 같은 시간 동안 우리 나라 근로자가 중국 근로자보다 더 많은 물건을 생산한다 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생산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 어떤 근로자가 이전보다 더 많이 생산한다면, ‘근로자의 생 산성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자본은 필수적인 생산 요소로 적절히 활용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목수가 망치를 사용하는 것, 사냥꾼이 총을 사용하는 것, 선생님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 근로자가 기 계를 사용하는 것은 모두 생산성을 높이려고 자본을 사용 하는 예시이다. 만약 자본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방 청소를 할 때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휴지나 먼지.. 2021. 9. 10. 선택의 발생, 선택과 기회비용 • 선택의 발생 사람은 누구나 한 개를 가지면 한 개를 더 갖고 싶어 한 다. 예쁜 옷을 입고 나면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하며, 새 컴퓨터를 갖고 싶어 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만족 시키려고 많은 것을 가지고 싶어 한다. 그러나 사람은 모든 욕구를 다 채우면서 살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것을 가지 려면 돈을 내야 하는데, 쓸 수 있는 돈은 한정되어 있으므 로 가장 필요하거나 갖고 싶은 것부터 선택해서 사야 한다. • 선택 상황의 발생 선택이 발생한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민정이는 1,000원을 가지고 가게에 가서 가격이 각각 1,000원인 사탕과 과자를 둘 다 살 수 없으며 둘 중에 하나 를 선택해야 한다. 민정이가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까닭은 둘 다 사기에는 돈이 희소하기 때문이다. .. 2021. 9. 1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