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성영역 | 자기성찰, 공감, 정서지능 | 재구성 | 아침자습 09:00~09:20 3월 20회기로 실시함. | ||
심리학 이론 |
(심리검사) 개인의 지능, 성격 등을 측정하여 그 사람에 대해 더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수검자에게 수행하는 일련의 심리학적 측정 절차 | ||||
목 표 |
Self (자아) | 다양한 형태의 심리 종합 검사를 토대로 자신의 모습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 |||
Interest(흥미) | 여러 가지 심리검사를 하면서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알아가며, 친구의 분석결과와 비교해 본다. | ||||
Cognition(인지) | 심리검사를 통해 자신도 모르고 있었던 자기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좀 더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다. |
심리학 인성교육의 이해 |
storoke에 대한 심리검사는 관계에서 주고 받는 영향을 조사하는 심리검사로서 과연 나는 상대방에게 어떤 자극과 영향을 주고 있는가? 또, 나는 상대방으로부터 어떤 자극과 영향을 받는가? 에 대한 성향을 분석함. A: 내가 상대방에게 주는 긍정적 자극과 영향 B: 내가 상대방에게 주는 부정적 자극과 영향 C: 내가 상대에게 받고 있는 긍정적 자극과 영향 D: 내가 상대방에게 받고 있는 부정적 자극과 영향 E: 무자극 정도, 편견으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운가? A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내가 상대에게 주는 사랑의 양이 많다는 것인데 7이상이 저조함. B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비판하는 경향이 많은데 점수가 낮은 학생이 많음. C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사랑받는 사람이라고 생각이 드는 것인데 7점 이하가 많음. D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상대방에게 받는 부정적 감정이 높다는 것인데 낮은 점수가 많음 E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남의 시선과 편견에 신경을 많이 쓰는 경우인데 낮은 점수분포가 많아 다른 사람의 시선을 크게 신경 쓰지 않음. 성격유형 검사(MBTI)는 정신과 의사인 융(Jung, C. G.)의 심리유형론을 근거로 하는 심리검사로, 개인이 쉽게 응답할 수 있는 자기보고 문항을 통해 각 개인이 인식하고 판단할 때 선호하는 경향을 힘을 발휘하는 성향(외향형과 내향형), 정보를 지각하는 성향(감각형과 직관형), 의사결정을 내리는 성향(사고형과 감정형), 라이프스타일 성향(판단형과 인식형) 등 각각 2가지로 구분된 4개의 선호경향에 따라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성격, 흥미 등의 특성과 함께 선호하는 작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서술형 설문지 검사는 학생들의 가족관계에서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도서, 영화, 연예인, 좌우명, 취미, 특기등 모든영역에 대한 서술형 질문임. |
심리학 인성교육의 이해 |
서술형 질문지는 연구자가 고안한 설문문항으로 학생들의 혈액형에서부터 가족관계, 소원 등 사소한 것까지 모두 적어 보게 하여 학생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추후 인성교육의 개별화를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줌. 미술심리 검사의 경우 3단계에서 어린이 미술 심리 치료사 과정에서 친구의 미술 그림을 분석하는 훈련을 함. 이러한 3단계 활동을 하기 전에 미술 심리 분석을 통하여 교사가 아동들의 내면의 심리를 파악하기 위함. 미술심리분석은 나무, 집, 어항그리기, 사람의 상반신 그리기 4가지 영역에 대해서 실시하고 4가지를 종합하고 개인상담, 다른 심리학적 설문을 종합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려고 노력함. 이것은 미술심리분석이 절대적인 지침을 주는 것보다 해석상의 차이가 존재하고 아동의 미술실력이나 무의미한 변수들로 인해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때문임. |
Joseph M. Sacks에 의해 개발된 문장완성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는 족, 성, 자기개념, 대인관계와 관련된 자아의 의식세계를 파악할 수 있는 심리 검사임. 심리학자들이 문항분석을 통하여 유의미한 문항 4개씩 선택, 최종문항검사를 결정하였음. 원래 6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50개 문항을 가장 많이 사용함. 문장완성형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자존감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가족에 대한 인식과 가족내에서 본인이 느끼고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음. 교우관계에서의 본인이 느끼는 감정들도 다른 검사 보다도 구체적인 진술로 나오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성향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음. EI검사는 1990년 미국 New Hampshire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존 메이어(John Mayer)와 Yale 대학의 교수인 피터 샐로비(Peter Salovey)의 정의에 따라 한국상황에 맞게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에 입각하여 만들어지고 표준화된 검사임. EI검사의 채점표는 아래와 같음. 정서지능은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그 배경으로 할 수 있음.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수치화 하여 학생들의 감정 조절능력 및 타인에 대한 감정의 수용성에 대해 알 수 있는 유용한 척도임. |
반응형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인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분석으로 중독의 원리 알기 (중독의 뇌과학) (0) | 2021.05.20 |
---|---|
웹툰 속 주인공의 마음을 읽어봐! (융의 분석적 심리치료) (0) | 2021.05.20 |
우리가 하는 말이 우리를 만든다(피그말리온 효과/사피어 워프 가설) (0) | 2021.05.20 |
단정하게 입으면 마음도 단정해진다! (존 몰로이 실험) (0) | 2021.05.20 |
잘못된 행동 어떻게 고칠수 있을까?(스키너의 조작적 조건 형성) (0) | 2021.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