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과 상식67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싸우는 이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싸우는 이유 최근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바로 앞에 국경지대에 병력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직접 침략할 거다 이런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에 두 나라의 화해를 위해 미국이랑 러시아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서로의 입장차이만을 확인한 채 회담이 끝나고 말았습니다. 대만을 사이에 두고 미국과 중국이 서로 기싸움을 하듯이 미국이랑 러시아도 우크라이나를 사이에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과연 미국과 유럽이 우크라이나를 지켜줄 것인가 지켜준다면 국제전으로 번질 것인가 혹시 3차 대전까지 가는 건 아닐까 뭐 이런 걱정 섞인 얘기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우크라이나에 대해서 아는것은 체르노빌이 여기 있다는 게 조금 유명하고 축구 선수로 셰브첸.. 2021. 12. 22.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분쟁 원인 역사적 이해 최근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 분쟁이 있었죠. 로켓을 수백 발씩 쏘고 이 로켓을 격추해서 방어하고 건물이 무너지고 사령관이 죽고 민간인 피해가 얼마고 이런 얘기들은 많이 보셨을 거예요. 보다 보면 왜 저렇게 싸우나 궁금해지거든요. 그래서 오늘 한 번 긁어드리려고 준비를 누가 먼저 잘못했다. 누가 더 잘못했다. 이런 윤리적인 관점이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정치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어떠한 미움의 고리를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가 일단 지도를 봐야 이해가 좀 되거든요. 현재 팔레스타인 땅 하나에 두 개의 국가가 들어가 있어요. 바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현재 이스라엘이 더 많은 땅을 차지하고 있고요 팔레스타인의 영토는 두 개의 지역으로 구분이 되는데 팔레스타인 강경파인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 2021. 12. 20.
GNP와 GDP의 개념과 차이점 뉴스에서 보면 GNP와 GDP라는 단어가 참 많이 등장합니다. 두 단어를 들으면 많이 생소하기도 하고 두 개념이 혼동되시는 분들이 많을 거 같습니다. 우리가 한 나라에서 일 년 동안 또는 분기 동안 얼마나 생산해 냈느냐 측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씁니다. 그런데 요즘 우리나라에 외국인 투자도 많이 들어와 있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 투자도 많이 하고 하니까는 개념이 불분명해졌습니다. 어디까지 포함하는 게 우리나라 것인지 그래서 용어를 기본적으로 두 가지로 나눠서 씁니다. 하나는 GDP입니다. 우리나라 땅에서 일 년 동안에 생산한 최종 재화입니다. 다시 말해서 영토의 개념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이라는 전재를 깔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에서 투자한 건 여기 들어가지 않습니.. 2021. 12. 19.
토의, 토론 기법(돌아가면 말하기, 창문열기, 동시다발적으로 돌아가며 쓰기) 돌아가며 말하기(Round Robin) 교사가 제시한 여러 가지 답이 포함된 주제에 대해 생각 나는 것을 이야기하는 활동이다. 수업 중 도입 부분에 사용 해 학습 주제에 관심을 유도할 때 사용하면 좋다. ① 교사가 다양한 해결책, 방법, 경우가 있는 주제를 제시 한다. ② 짝을 지어 학생들은 번갈아 가면서 해결책을 말한다. ③ 서로 물어보거나 다양한 답을 돌아가면서 이야기할 수 있다. 창문 열기 창문 열기는 모둠 내에서 토의를 하며 정보를 나누고 정 리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창문 모양의 네 칸에 1부터 4까지 동의한 학생의 수를 표시하고 모둠원의 의견을 듣고 난 후 동의한 학생 수에 해당하는 칸의 의견을 적어 모둠원 모두가 동의한 의견을 결정한다. 다양한 정보를 내놓고 의사 결정 과정을 거쳐 다양한.. 2021.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