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69 공정 무역과 착한 초콜릿 착한 초콜릿 이야기 우리가 자주 먹는 초콜릿의 원료는 무엇일까요? 바로 카카오입니다. 이러한 카카오를 따기 위해 아프리 카 코트디부아르의 코코아 농장에서는 열 살도 안 되어 보이는 어린이들이 하루 10시간 이상 끼니도 거른 채 노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착한 초콜릿’이 등장했습니다. 이 초콜릿은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여 생산된 카카오를 합법적으로 유통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습니다. 이로써 제품에 대한 공정 한 가격을 보장받게 하고, 제품을 판매하여 얻는 이익의 일부는 학교나 병원을 세우는 데 쓰이고 있습니 다. 착한 초콜릿의 조건은 카카오를 딸 때 18세 이하의 아이들은 위험한 칼을 사용하거나 농약을 뿌릴 수 없으며 15세 이하의 아이들은 학교에 다녀온 후에만 농장에서 일을 할 수 있다.. 2021. 8. 26. 지혜로운 왕 지혜로운 왕 옛날 중국 제나라의 위왕은 선정을 베풀어 많은 백성에게 존경을 받았습니다. 하루는 그가 지방의 관리들이 백성들을 잘 다스리고 있는지를 알아본 후에 청렴한 관리들에게 상을 내리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 뒤 ‘즉묵’이라는 지방 의 관리를 궁으로 불러들였습니다. “경에 대해 온통 나쁜 소문만 들리기에 은밀히 사람을 보내 알아보았더니 관리들은 청렴결백하였고 백성을 아끼고 인 심이 후하고 배를 주리는 자가 없다 하니 경은 그곳을 잘 다스린 것이 분명하오. 그런데도 내 주위의 대신들은 경을 악담하니 이는 경이 그들에게 아첨과 뇌물을 주지 않았다 는 증거이니 이 또한 바른 정치가의 모습이 아니겠소? 그 래서 경의 수고를 치하하려 하오.” 왕은 그에게 포상으로 땅을 주었습니다. 2021. 8. 26. 공감 능력이란 공감 능력이란 공감 능력이란 ‘아, 그럴 수 있겠다.’, ‘이해가 된다.’, ‘이심전심(以心傳心)’ 등의 표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방의 느낌, 감정, 사고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해된 바를 정확하게 상대방과 소통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신의 입장만을 생각하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배려할 때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 따라서 공감은 공정하고 아름다운 사회를 이루어 가는 바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두가 조화롭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데 있어 요구되는 필수적인 능력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 주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상황에서도 상대방의 입장이나 마음을 헤아려 본 다면, 또 다르게 보일 것이고 그 결과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2021. 8. 26. 롤스의 정의론 롤스의 정의론 미국인은 대부분 사회 계약에 서명한 적이 없다. 사실 미국 사람 중에 헌법 준수에 동의한 사람은(공무 원을 제외하면) 귀화한 시민, 즉 시민권을 받는 조건으로 충성을 맹세한 이주민들뿐이다. 나머지 사람은 동의하라는 요구도, 심지어 동의하느냐는 질문도 받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법을 준수해야 할까? 그리고 무슨 근거로 우리 정부가 합의를 기반으로 설립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존 로크(John Locke)는 우리가 암묵적으로 합의했다고 말한다. 하다못해 고속도로를 달리는 것 같은 정부의 혜택을 누리는 사람이라면 법에 암묵적으로 합의한 것이며, 법을 준수하겠다고 약속한 것과 다름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마을을 통과하는 행위가 어떻게 헌법을 비준하는 행위와 도덕적으로 유사한 지를 밝.. 2021. 8. 2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