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아두면 유용한 상식69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자신의 삶에서 성공보다는 실패를 자주 접한 학생은 그 나름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이 자신만의 강점을 확인하는 일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도 않는 상 태다. 그러므로 교사는 도덕 수업 장면을 통해 숨겨져 있는, 망각하고 있는, 파묻혀 있는, 계발되지 않은 자기 나름의 강점과 연합된 긍정적 경험을 회상·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에게 부여해야 한다 (Prince-Embury, 2014: 29). 학생이 자신의 강점을 발견·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두 가지 방안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기록한 후에 동료 학생 앞에서 발표해 보게 함으로 써 공적 확언 및 상호 이해의 장을 마련할 수도 있다.. 2021. 7. 22.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바르고 곧은 삶을 살기 위한 자기 성찰 이황 선생은 조선 시대의 유학자입니다. 이황 선생은 여러 책을 남겼는데 그중 『성학십도』라는 책이 있습 니다. 『성학십도』는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의 내용을 열 개의 그림으로 만든 책입니다. 그 중 열 번째 그림은 「숙흥야매잠도」라고 하는데, 이 그림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밤에 잠들 때까지 자신의 몸가짐을 바르게 하 는 여러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닭이 울어 잠이 깨면 생각이 점차 일어나게 되니 그 사이에 조용히 마음을 정돈하고 혹 지난날을 반성하고 새롭게 깨달은 것을 모아 조리를 세워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근본이 세워지면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머리 빗고 옷을 갖추어 입고 단정히 앉아 몸을 가다듬는다. 마음을 끌어모아 밝은 햇살.. 2021. 7. 22. 윤동주와 「자화상」 윤동주와 「자화상」 1940년대 일제는 우리나라의 신문사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더 이상 신문을 찍지 못하게 하고, 우리 말을 아예 쓰지 못하게 하고, 일본 말과 글만 쓰게 하는 정책까지 펼쳤습니다. 이러한 시대 현실로부터 어 느 누구도 자유로울 수가 없었습니다. 더 이상 아름다운 우리말로 시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서, 윤동주는 더 욱더 자기 자신에 대해 갈등했습니다. 지성인이라면 불의와 부정에 맞서 싸워야겠지만, 윤동주는 그렇게 나서서 행동하는 사람이 아니었습니 다. 그래서 심한 좌절감을 맛보며 고통스러워했습니다. 자화상 윤동주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2021. 7. 22. 도덕적 성찰 수업 시 유의 사항, 성찰 학습 촉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도덕적 성찰 수업 시 유의 사항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는 다양한 도덕적 기능을 적절하게 실천해야 한다. 성찰의 대상이 되는 도덕적 경 험, 사건, 문제에 따라 가장 중요한 기능이 무엇인가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탁월한 도덕적 성찰 능력 에는 자신의 도덕적 경험에 대해 효과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그것을 추구하는 기술과 지식이 포함된다. 배 타적이고 근시안적인 도덕 관점은 도덕적 경험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저해한다. 탁월한 도덕적 성찰에 필요한 중요한 조건은 다르거나 새로운 도덕적 관점에 대한 개방성이다. 이미 잘 확립된 도덕적 견해를 적용하는 문제는 도덕적 탐구의 초점이며, 도덕적 성찰의 핵심은 도덕적 경험에 대 한 비판적 성찰이기 때문이다. 특정 가치의 입장이 자신의 도덕적 반응과 가치 가정에 직접.. 2021. 7. 2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