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9

도덕적 성찰의 의미 도덕적 성찰의 의미 도덕적 성찰은 과거의 도덕적 경험을 떠올려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 도덕적 판단, 의도, 신념을 조사 하고, 과거의 경험이 현재 자신의 도덕적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을 기초 로 도덕적 삶의 실천 방안을 결정하는 사고의 과정을 말한다. 즉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을 포괄하는 도 덕적 경험에 대한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도덕적 사고 과정이다. 도덕적 성찰의 대상이 되는 경험은 개인의 내면에 존재하는 도덕적 갈등, 타인과의 관계, 사회·국가· 지구 공동체와의 관계에서의 도덕적 경험, 그리고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에서 겪은 도덕적 경험이 포함된다. 도덕적 성찰 과정에서는 우선 경험에서의 행동, 감정, 도덕적 의도 등이 조사된다. 다음으로 이 상적인 도덕적 .. 2021. 7. 22.
성찰적 글쓰기 성찰적 글쓰기 성찰은 기존의 인지 구조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경험이나 지식을 평가하고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성찰은 우리의 사고나 신념체계가 가지고 있는 왜곡을 수정하고 발전적 학습으로 지향 해 가기 위한 동인(動因)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성찰은 개인적 성찰과 사회적 성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개인적 성찰 은 자신의 경험과 학습한 내용에 대해 성찰하는 것을 말하며, 사회적 성찰은 특정 팀에 속해 팀원들과 토론 및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협력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찰을 의미한다. 성찰적 글쓰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신을 문자화하는 과정을 거쳐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갖고 자아 존중감을 회복하는 것이며, 자기 자신의 본질을 깨달아 치유하는 것에 있다. 2021. 7. 22.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자아 정체성 발달과 도덕과 지도 방법 자신의 삶에서 성공보다는 실패를 자주 접한 학생은 그 나름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이 자신만의 강점을 확인하는 일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지도 않는 상 태다. 그러므로 교사는 도덕 수업 장면을 통해 숨겨져 있는, 망각하고 있는, 파묻혀 있는, 계발되지 않은 자기 나름의 강점과 연합된 긍정적 경험을 회상·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에게 부여해야 한다 (Prince-Embury, 2014: 29). 학생이 자신의 강점을 발견·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두 가지 방안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기록한 후에 동료 학생 앞에서 발표해 보게 함으로 써 공적 확언 및 상호 이해의 장을 마련할 수도 있다.. 2021. 7. 22.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이황의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 바르고 곧은 삶을 살기 위한 자기 성찰 이황 선생은 조선 시대의 유학자입니다. 이황 선생은 여러 책을 남겼는데 그중 『성학십도』라는 책이 있습 니다. 『성학십도』는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의 내용을 열 개의 그림으로 만든 책입니다. 그 중 열 번째 그림은 「숙흥야매잠도」라고 하는데, 이 그림에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밤에 잠들 때까지 자신의 몸가짐을 바르게 하 는 여러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닭이 울어 잠이 깨면 생각이 점차 일어나게 되니 그 사이에 조용히 마음을 정돈하고 혹 지난날을 반성하고 새롭게 깨달은 것을 모아 조리를 세워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근본이 세워지면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머리 빗고 옷을 갖추어 입고 단정히 앉아 몸을 가다듬는다. 마음을 끌어모아 밝은 햇살.. 2021.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