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9

조상들이 상부상조를 하던 모습(품앗이, 두레, 이웃사촌) 조상들이 상부상조를 하던 모습(품앗이, 두레, 이웃사촌) 상부상조의 전통 •품앗이: 힘든 일을 서로 거들어 주면서 품을 지고 갚고 하는 일 •두레: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려고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 •이웃사촌: 서로 이웃에 살면서 정이 들어 사촌 형제나 다를 바 없이 가까운 이웃 천 원으로 할 수 있는 일 •미얀마에서 어린이 다섯 명의 척수성 소아마비 백신을 살 수 있는 비용 •내몽골 호르친 사막에 열 그루의 포플러 묘목을 심는 비용 •아프가니스탄 어린이 다섯 명의 교과서 비용 •캄보디아에서 성 착취와 인신매매 피해를 입은 소녀가 상담 치료를 1회 받을 수 있는 비용 •방글라데시 아이들 20명이 우유를 한 컵씩 마실 수 있는 비용 2021. 7. 20.
경주 최부잣집 경주 최부잣집 12대 만석꾼과 9대 진사를 배출했다는 경주 최부잣집에 400년 동안 내려오는 가훈에서도 우리는 ‘노블 레스 오블리주’를 확인할 수 있다. “재산은 만 석 넘게 모으지 말라. 흉년에는 다른 사람의 전답을 사들이 지 말라. 사방 백 리 안에서 굶어 죽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최부잣집은 재산이 만 석을 넘으면 소작료를 낮춰서 주변 사람들에게 골고루 이득이 돌아가도록 조처했다. 남이 당한 불행을 내 재산을 불리는 기회로 악용하지 않는다는 원칙도 엄격하게 지켰다. 손님에게 제공한 숙식용으로만 1년에 천 석씩 들었다는 큰 부자였지만 보릿고개가 닥치면 집안 식구들에게 쌀밥을 먹지 못하게 했고, 은수저도 사용하지 못하게 했 다. 그런 최부잣집의 만 석 재산도 12대에서 끝이 났다. 해방 직후 영남대에.. 2021. 7. 20.
테레사 수녀님 (봉사의 과학적 효과 입증) 테레사 수녀님 (봉사의 과학적 효과 입증) 베풀수록 행복하고, 나눌수록 건강해진다 1940년대 말 가난하고 병든 사람과 버려진 어린이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 수녀가 있었다. 바로 ‘빈자 (貧者·가난한 사람)의 어머니’로 불리는 테레사 수녀(Mother Teresa)이다. 테레사 수녀는 나누고 봉사하 는 삶을 살며 사람들에게 나눔과 봉사의 의미를 일깨워주고, 1979년 노벨 평화상을 받기도 했다. 1998년 미국 하버드 의대는 놀라운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테레사 수녀처럼 남을 돕고 봉사하는 모습 을 보기만 해도 우리 몸속에 병균과 싸워 이길 수 있는 항체가 생겨 면역 기능이 크게 향상된다는 내용이 었다. 하버드 의대 연구팀은 하버드 학생 150명에게 테레사 수녀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를 보여 주고 면역 항.. 2021. 7. 20.
배려 윤리 교육 방법 - 나딩스(Nel Noddings) 배려 윤리 교육 방법 - 나딩스(Nel Noddings) 나딩스(Nel Noddings)는 배려 윤리의 교육 방법을 모범 보이기, 대화, 실천, 인정과 격려로 보았다. 모범 보이기는 배려의 본보기를 보여 주고 경험하게 하여 이를 본받게 하는 것이다. 배려를 가르치려면 배려하라고 말 하기보다는 학생들과 배려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배려를 보여 주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이러한 배려의 모범이 교사와 학생 사이 그리고 학생들 서로의 사이에서 두루 보여야 한다. 대화는 이해와 공감 그리고 인식을 위한 공동의 탐색 활동을 말한다. 교육이 설교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상호 간에 교 류하고 반응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도덕적 대화는 형식적 측면에서 의견의 교환보다 대화의 상대자에게 더욱 중점을 두 어 서로 격려해 주고 도와.. 2021. 7. 20.
반응형